최근 무허가 사육시설을 탈출해 주인 부부를 덮쳐 숨지게 한 곰 3마리가 사살됐죠.
이번에 세 번째 탈출이었다고 합니다.
막을 수 있었던 사고가 아니었을까, 싶어요.
지난 두 차례 탈출 소동이 있었는데, 처벌은 벌금에 그쳤습니다.
그리고 농장주는 벌금형을 받고도 시설 등록을 안 했습니다.
곰이 잇따라 탈출했는데도 안일한 대응만 반복한 탓에 결국 사람도, 곰도 목숨을 잃었습니다.
야생동물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
이윤재 기자의 보도입니다.
[기자]
환한 불이 밝혀진 농장에 정적을 깨는 총성이 울립니다.
사육 시설을 탈출해 60대 부부를 덮친 곰이 사살되는 순간입니다.
이 곰이 탈출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었습니다.
지난해 5월에도 1마리가 탈출했고, 2019년에도 같은 사고가 있었습니다.
농장주는 탈출 사고 이후 이 법을 어긴 혐의로 벌금형을 선고받았지만, 시설 등록은 하지 않았습니다.
[낙동강유역환경청 관계자 : 사육시설 미등록으로 불법으로 사육하고 있었던 겁니다. 환경청이 분기마다 점검을 가고 있고 이번 3분기에 확인했습니다.]
관리·감독을 맡은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사유물로 분류되는 곰을 사살하거나 몰수할 근거가 없다는 입장입니다.
[낙동강유역환경청 관계자 : 몰수해도 관리할 수 있는 시설이 지금 없거든요. 환경부에서 지금 시설 건립을 추진하고 있고, 2024년에 완공 예정으로 진행 중에 있거든요.]
전남지역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.
예방적 매몰처분이 최선인데, 그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.
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5일부터 나주와 영암지역에 예방적 매몰 처분 범위를 내렸었습니다.
어제(11일) 무안과 함평까지 예방적 매몰처분 범위를 확대했습니다.
나주에서만 6건, 영암 4건의 확진 사례가 발생한 데 이어, 무안 4건, 함평 2건 등으로 확산했거든요.
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긴급 현장 점검을 진행하고,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에서도 지자체가 AI 방역에 더욱 관심을 두도록 조치해달라고 강조했습니다.
수도권의 한 지역농협이 150억 원대에 달하는 신용 대출을 불법으로 해줬습니다.
일부 대출받은 사람들이 파산하면서 수십억 원의 손실이 났습니다.
그럼 누구 손해인가요?
조합원인 농민들의 손해입... (중략)
YTN 안보라 (anbora@ytn.co.kr)
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2120847307203
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
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
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